[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⑤-1] 두유류 표시기준, 콩이 많이 들었다는 말의 진실
'콩으로 만든 건강음료', 정말 콩이 많이 들어있을까?'식물성 단백질', '검은콩 함유', '든든한 한 끼 두유'… 건강을 생각해 고른 두유, 실제로는 콩 함량이 생각보다 적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두유는 대표적인 식물성 음료로 알려져 있지만, 제품마다 콩 고형분 함량과 식품유형이 다릅니다. 이번 편에서는 두유 제품을 고를 때 꼭 알아야 할 두유류 표시기준과 오해하기 쉬운 문구를 정리해 드릴게요..1. 두유류란?식품공전상 기준식품공전에서는 두유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두유류란, 두류 및 두류가공품의 추출물이거나 이에 다른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ㆍ가공한 것으로서, 원액두유 및 가공두유를 말합니다. 두유류는 크게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뉩니다.원액두유두류로부터 추출한 유액으..
2025. 4. 9.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④-1] 발효음료, 진짜 발효되었을까?
'발효'라는 말, 정말 건강을 의미할까?‘발효’라는 단어는 왠지 건강해 보입니다. 발효음료라고 하면 자연스러운 미생물 작용, 장 건강, 소화 기능 향상 같은 이미지가 떠오르죠. 하지만 시중에 출시된 발효음료는 정말 다 같은 기준을 따르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식품공전 기준에 따른 발효음료류의 정의와 분류, 표시 기준, 대표적인 오해 사례들을 살펴보며, 소비자가 진짜 ‘발효된’ 음료를 고를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1. 발효음료란?발효음료류는 유가공품 또는 식물성 원료를 유산균, 효모, 기타 미생물 등으로 발효시켜 가공한 음료로, 식품공전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유산균음료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음료효모음료효모로 발효시킨 음료기타발효음료유산균이나 효모 이외의 미생물(예: 발효균주 등)로..
2025. 4. 8.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③-2] 탄산음료 대신, 탄산수는 괜찮을까?
탄산의 청량감은 좋지만 건강엔 걱정?그렇다면 탄산수는?콜라나 사이다 같은 탄산음료가 시원하고 맛있는 건 사실이죠. 하지만 고당류, 인공감미료, 인산 등 건강에 좋지 않은 성분으로 인해 꺼려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건강한 대체 음료'로 탄산수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어요. 그런데 정말, 탄산수는 탄산음료보다 건강한 선택일까요? 건강 음료라고 단정 짓기 전에, 성분과 기준을 먼저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1. 탄산수란?식품공전에서는 탄산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정제수나 천연수에 이산화탄소(CO₂)를 주입한 음료당류, 향료, 감미료, 색소 등의 첨가물은 일절 들어가지 않음일반적으로 '무열량', '무당', '무첨가물' 제품즉, 탄산수는 본질적으로 물 + 탄산가스로 이루어진 매우..
2025. 4. 8.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①] 음료류 7가지 식품유형 총정리
마트 진열대 속 음료, 도대체 어떤 기준으로 나뉘는 걸까?편의점이나 마트를 둘러보면 다양한 음료들이 즐비합니다. 과즙 100% 주스, 과일향 탄산수, 유산균이 들어간 발효음료, 고카페인 에너지드링크, 홍삼음료까지. 그런데 이 음료들은 법적으로는 어떤 기준으로 구분될까요? 소비자가 보기엔 비슷해 보이지만, 식품공전과 관련 고시 에서는 엄연히 서로 다른 식품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 시리즈는 바로 그 음료류 식품유형과 표시기준의 차이를 하나씩 살펴보는 콘텐츠입니다. 오늘은 그 첫 번째 시간으로, 음료류 식품유형 총정리 편을 준비했어요.1. 식품공전상 7가지 유형식품공전에 따르면, 음료류는 다음과 같은 하위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다류"침출차, 액상차, 고형차"식물성 원료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가공한 기호..
2025.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