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분표확인4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③-2] 탄산음료 대신, 탄산수는 괜찮을까? 탄산의 청량감은 좋지만 건강엔 걱정?그렇다면 탄산수는?콜라나 사이다 같은 탄산음료가 시원하고 맛있는 건 사실이죠.  하지만 고당류, 인공감미료, 인산 등 건강에 좋지 않은 성분으로 인해 꺼려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건강한 대체 음료'로 탄산수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어요.  그런데 정말, 탄산수는 탄산음료보다 건강한 선택일까요?  건강 음료라고 단정 짓기 전에, 성분과 기준을 먼저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1. 탄산수란?식품공전에서는 탄산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정제수나 천연수에 이산화탄소(CO₂)를 주입한 음료당류, 향료, 감미료, 색소 등의 첨가물은 일절 들어가지 않음일반적으로 '무열량', '무당', '무첨가물' 제품즉, 탄산수는 본질적으로 물 + 탄산가스로 이루어진 매우.. 2025. 4. 8.
'프리미엄' 식품, 진짜 더 좋은 걸까? "프리미엄이라는 말에 끌리는 이유"'프리미엄 김', '명품 장류', '고급 원료 사용' 등 우리는 마트와 온라인몰에서 수없이 많은 '프리미엄' 식품을 접하게 됩니다. 마치 한 단계 더 높은 품질과 가치를 제공한다는 듯한 인상을 주죠.하지만 과연 '프리미엄'이라는 말은 실제 품질을 보장해 주는 법적 기준이 있을까요? 아니면 단순히 마케팅 용어일 뿐일까요?1. '프리미엄'의 의미와 소비자 인식'프리미엄(premium)'은 일반적으로 기준보다 우수한 품질이나 기능, 고급 원료 사용 등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외에도 '명품', '고급', '스페셜', '럭셔리' 같은 유사 표현이 다양하게 쓰이고 있죠. 소비자는 이런 표현이 붙은 제품을 볼 때품질이 더 좋다더 건강하거나 안전하다원료가 더 좋고 정성이 들어갔다고.. 2025. 4. 6.
'청정지역 원료'라면 정말 더 깨끗할까? '청정지역'이 주는 깨끗한 이미지“청정지역에서 자란 ○○ 사용”, “청정수역 원산지”, “맑고 깨끗한 산지에서 온 ○○○”이런 문구는 식품뿐 아니라 생수, 축산물, 수산물 등에서 매우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소비자들은 이를 보고 "이 제품은 오염되지 않았겠다", "신선하고 안심할 수 있겠다"는 인식을 하게 되죠.하지만 '청정지역'이라는 말, 과연 공식적으로 인증된 것일까요?1. '청정지역 원료'란 무엇인가?'청정지역'이라는 표현은공기, 물, 토양 등 환경이 깨끗하다고 알려진 지역에서 생산된 원료라는 이미지를 줍니다. 자연주의, 친환경 소비 트렌드와 맞물려 이 표현은 식품 라벨뿐 아니라 광고, 상세페이지, 쇼핑몰 키워드에서도 매우 빈번히 사용됩니다.  특히 지역 이름과 결합한 경우, 소비자의 신뢰도를 .. 2025. 4. 6.
'천연'이라서 안심? 자연 유래 표시의 진실 "천연이라니까 왠지 더 믿음직해 보여요"제품 라벨에 '천연',자연 유래', '내추럴'이라는말이 붙으면 왠지 더 건강하고,더 안전할 것 같은 인상을 줍니다.실제로 소비자 설문조사에서도“천연이라는 말이 있으면 더 믿고 구매한다”는응답이 높게 나타납니다.그런데, 과연 '천연'이라는 말,과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 걸까요?그리고 이 문구는 법적으로얼마나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을까요?1. '천연'이란?'천연'이라는 말은 보통화학적 합성  없이자연에서 얻은 물질이라는의미로 사용됩니다.식품뿐 아니라 화장품,건강기능식품, 세제류 등에서도광범위하게 사용되죠.식품에서는 '천연첨가물', 천연향료', '자연 유래 색소' 등의형태로 많이 쓰입니다.예를 들어 사과에서 추출한 산미료,식물에서 얻은 향료 등이이에 해당할 수 있어.. 2025. 4.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