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명한 식품 선택

[강조표시 시리즈⑩] 무기질, 얼마나 알고 먹고 계신가요?

by likefood 2025. 3. 26.
건강기능식품뿐 아니라 일반 가공식품에서도
칼슘·철·아연 등 무기질 표시가 자주 보이지만,
이 표시의 기준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이번 글에서는 무기질 시장 동향부터
기능, 급원 식품, 결핍·과잉 문제,
그리고 법적 표시 기준과 소비자 체크리스트까지 알차게 정리해 드릴게요.

건강 이미지

1. 🧭 무기질 첨가 시장 현황

최근 식품업계는 칼슘이나 아연 등 기능성 무기질을 첨가한 제품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어요.


특히 성장기 아동을 위한 칼슘 첨가 유제품, 철분 강화 시리얼, 아연 강화 비스킷

대표적인 무기질을 첨가한 제품입니다.

 


2. 🔍 무기질의 종류와 기능, 유래

무기질은 체내에서 스스로 만들 수 없어 반드시 식품으로 섭취해야 하는 필수 영양소예요.

 

주요 무기질은 아래와 같습니다.

무기질 주요 기능 유래 / 첨가 시
칼슘(Ca) , 치아 건강 우유, 해조류 / 탄산칼슘
(Fe) 혈액 생성 , 육류 / 황산철, 피로인산철
아연(Zn) 면역 기능, 성장 , 소고기 / 아연화합물
마그네슘(Mg) 근육·신경 조절 견과류 / 산화마그네슘
요오드(I) 갑상선 기능 유지 해조류 / 요오드화칼륨

3. 🍽무기질의 급원 식품

  • 칼슘: 우유, 치즈, 뱅어포, 멸치
  • 철분: 쇠간, 조개류, 시금치
  • 아연: 굴, 육류, 콩
  • 요오드: 다시마, 미역
  • 마그네슘: 견과류, 현미, 콩

👉 가공식품이 아닌 자연식품으로도 충분히 섭취 가능합니다!


4. 결핍 시 문제

  • 칼슘 부족: 성장 저하, 골다공증
  • 철 결핍: 빈혈, 피로, 집중력 저하
  • 아연 결핍: 면역력 저하, 성장 장애
  • 요오드 결핍: 갑상선 기능 저하
  • 마그네슘 부족: 근육 경련, 피로

2023 국민건강통계의 영양섭취부족자 분율에 따르면

일부 무기질(특히 철분, 칼슘)은 다른 영양소들에 비해 섭취가 부족한 상태입니다.

 

특히 12~18에서 권장섭취량에 미달하는 영양섭취부족자 분율이 27.5%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섭취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질병관리청, 2023 국민건강통계

 

철분과 칼슘은 한창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매우 중요한 무기질입니다.

성장에 충분히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게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 같네요.


5. ⚠️ 과잉 섭취 시 문제

무기질은 과잉 섭취 시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 철분: 위장장애, 간 손상
  • 아연: 구토, 면역 기능 저하
  • 요오드: 갑상선 기능 이상
  • 칼슘: 신장결석 가능성

균형 섭취가 핵심입니다!

무기질 1일 상한섭취량(19-29세, 남성 기준)
칼슘(Ca) 2,500 mg
(Fe) 45 mg
아연(Zn) 35 mg
마그네슘(Mg) 350 mg(보충제로 섭취시에만 해당)
요오드(I) 2,400
셀레늄(Se) 400
구리(Cu) 10 mg
망간(Mn) 11.0 mg
몰리브덴(Mo) 600
(P) 3,500 mg
나트륨(Na) 2,300 mg

 

모든 무기질이 상한 섭취량이 있는 것은 아니며,

성별, 연령 등에 따라 섭취기준이 다르니 꼭 체크하여 섭취하세요.

출처 :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보건복지부, 2020)

6. 🧾 법적 표시기준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무기질을 강조하려면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해요.

 

✔︎ '함유 또는 급원' 표시 기준

  • 100g당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15% 이상
  • 100ml당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7.5% 이상
  • 100kcal당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5% 이상
  • 1회 섭취참고량당 1일 영양성분기준치의 5% 이상

✔︎ '' 또는 '풍부' 표시 기준

  • 함유 또는 급원 기준의 2배

※ "더", "강화", "첨가"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10% 이상 차이가 있을 경우에 가능한 것으로 고시하고 있습니다.

출처 : 식품 등의 표시 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4-41호)

📌 1일 영양성분 기준치는 아래 표 참고!

무기질 1일 영양성분 기준치
칼슘(Ca) 700 mg
(Fe) 12 mg
아연(Zn) 8.5 mg
마그네슘(Mg) 315 mg
요오드(I) 150
셀레늄(Se) 55
구리(Cu) 0.8 mg
망간(Mn) 3.0 mg
크롬(Cr) 30
몰리브덴(Mo) 25
(P) 700 mg
칼륨(K) 3,500 mg
나트륨(Na) 2,000 mg

 

출처 :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5]

 


7. 🧍 소비자 체크리스트

이 제품의 무기질은 % 수준인가요?
1회 섭취량이 아닌 1일 기준치와 비교하세요
급원’, ‘고함량같은 표현이 있다면 법적 기준 충족 여부 확인
어린이용 제품은 연령별 권장섭취량에 맞게 판단하세요 /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보건복지부, 2020)
복합 비타민/무기질 제품 섭취 시 중복 확인 필수!


8. 🧩 마무리

무기질은 몸에 꼭 필요한 작은 영웅이지만,

지나치거나 부족하면 건강에 해로워요.


식품 속 표시를 이해하고,

자신과 가족의 건강 상태에 맞는 무기질 섭취가 중요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강조표시 시리즈 마무리 글로 만나 뵐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