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에 붙은 “비타민 풍부”, “비타민C 함유”라는 문구,
정말 믿어도 될까요?
이 글에서는 식품 표시기준에 따른 강조 문구의 법적 기준과
소비자가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를 정리했습니다.
현명한 선택을 위한 팁, 지금 확인해 보세요! 🔍
1. 📋 법적 표시 기준 (💡기준 단위별 포함량이 다름)
소비자가 자주 보는 “비타민 ○○ 함유”, “비타민 풍부” 같은 문구는
식약처의 「식품 등의 표시기준」 고시에 따라
비타민 1일 영양성분 기준치 대비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되어야 사용할 수 있어요.
그런데 중요한 건,
적용 기준 단위(100g, 100mL, 100kcal, 1회 제공량)에 따라
이 ‘기준 비율’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
✅ 적용 기준 단위별 강조표시 기준
적용 단위 | ‘함유’ 또는 ‘급원’ 기준 | ‘고’ 또는 ‘풍부’ 기준 |
100g당 | 1일 영양섭취기준의 15% 이상 | 30% 이상 |
100mL당 | 1일 영양섭취기준의 7.5% 이상 | 15% 이상 |
100kcal당 | 1일 영양섭취기준의 5% 이상 | 10% 이상 |
1회 제공량당 | 1일 영양섭취기준의 15% 이상 | 30% 이상 |
✔ ‘고/풍부’ 문구는 ‘함유/급원’보다 2배 높은 기준을 충족해야 해요.
✔ 어떤 단위를 적용했는지는 표시와 함께 명확히 밝혀야 합니다.
또한 비타민이 첨가된 경우, 사용된 비타민명과 용도(영양강화제)를 함께 표기해야 합니다.
✔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값과 10% 이상 차이가 있을 때
"더", "강화", "첨가"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여 표기할 수도 있습니다.
✅ 비타민 표시 기준 정리표(100g당, 30~49세 남성 기준)
비타민명 | 1일 영양섭취기준 | ‘함유(급원)’ 기준 (≥15%) | ‘풍부(고)’ 기준 (≥30%) |
비타민A | 800 μg RE | 120 μg RE 이상 | 240 μg RE 이상 |
비타민D | 10 μg | 1.5 μg 이상 | 3 μg 이상 |
비타민E | 12 mg α-TE | 1.8 mg 이상 | 3.6 mg 이상 |
비타민K | 75 μg | 11.25 μg 이상 | 22.5 μg 이상 |
비타민C | 100 mg | 15 mg 이상 | 30 mg 이상 |
티아민(B1) | 1.2 mg | 0.18 mg 이상 | 0.36 mg 이상 |
리보플라빈(B2) | 1.5 mg | 0.225 mg 이상 | 0.45 mg 이상 |
나이아신(B3) | 16 mg NE | 2.4 mg NE 이상 | 4.8 mg NE 이상 |
비타민B6 | 1.5 mg | 0.225 mg 이상 | 0.45 mg 이상 |
엽산 | 400 μg | 60 μg 이상 | 120 μg 이상 |
비타민B12 | 2.4 μg | 0.36 μg 이상 | 0.72 μg 이상 |
판토텐산 | 5 mg | 0.75 mg 이상 | 1.5 mg 이상 |
비오틴 | 30 μg | 4.5 μg 이상 | 9 μg 이상 |
※ 1일 영양섭취기준은 연령별, 임신부, 수유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꼭 본인에게 맞는 섭취기준을 체크해야 합니다.
출처 : 식품 등의 표시 사항(식약처, 제2024-41호),
한국인 영양섭취기준(한국영양학회, 2020)
✅ 소비자 주의사항
- 강조표시가 있어도 기준 미달이면 부당 표시에 해당
- “비타민 풍부”라고 해도 실제 비율을 따지지 않으면 과장광고로 오해될 수 있음
- 표시된 기준 단위(100g? 100mL? 1회 제공량?) 반드시 확인하세요!
- 건강기능식품과 달리, 일반 식품의 강조표시는 과학적 수치 기준을 명확히 따라야 합니다.
2. 🛒 소비자 체크리스트
확인 항목 | ✅ |
강조 문구가 실제로 법적 기준(15% 이상)을 충족하는지? | ⬜ |
비타민의 종류와 기능이 내 필요와 맞는지? | ⬜ |
영양성분표에 표시된 mg/㎍ 수치가 어느 정도인지? | ⬜ |
'천연' 또는 '합성' 문구가 오해를 일으키는 표현은 아닌지? | ⬜ |
건강기능식품과 일반식품을 헷갈리고 있지 않은지? | ⬜ |
비타민 성분이 있다고 해서 모두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지나친 기대는 금물이에요!
3. ✍ 마무리하며
“비타민 풍부”라는 문구를 보면 왠지 건강해질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그 문구가 법적으로 어떤 조건 아래 사용될 수 있는지,
또 실제로 그 제품이 내게 도움이 될지는 따져봐야 합니다.
이제는 강조표시 문구를 볼 때 기준 단위가 뭔지,
1일 기준치의 몇 %를 충족하는지를 꼭 확인해 보세요..
꼼꼼히 살피는 소비자일수록 건강을 지키는 힘도 강해집니다.
📌 다음 시리즈에서는 무기질(칼슘, 철, 아연 등) 강조표시 기준과
이들이 실제 건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표시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알려드릴 예정이에요.
'무기질 함유' 제품, 진짜 괜찮은 걸까?
궁금하시다면 꼭 다음 편도 함께해 주세요!!
📌 그렇다면, 우리가 섭취해야 할 비타민의 종류와 기능!
섭취가 부족할 때와 과도할때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구독⭐으로 소통해 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여러분의 관심과 응원이 더 깊은 콘텐츠로 이어져요.
고맙습니다!
😊
[강조표시 시리즈 ①] "무첨가"의 함정 - 식품 표시사항 제대로 읽는 법
마트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눈에 띄는 문구 중 하나가 바로 "무첨가"입니다.무방부제, 무색소, 무설탕 등 다양한 표현으로 소비자의 건강한 선택을 유도합니다.하지만 이 "무첨가" 표시가 항상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②] "저", "고" 함량표시는 믿을 수 있을까?
마트에서 식품을 고르다 보면 '저당', '저지방', '고칼슘' 같은 문구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이 표현들은 과연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③] 무가당 vs 무설탕 vs 제로슈가 – 같은 말일까, 다른 말일까?
마트에서 음료나 간식을 고르다 보면'무가당', '무설탕', '제로슈가'라는 문구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모두 당이 없다는 의미일까요? 아니면 각각 다른 기준과 의미가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 헷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④] 저당 표시, 진짜 당이 적을까? 기준부터 오해까지 총정리
마트나 편의점에서'저당', 'Low Sugar', '당을 줄였어요'같은 문구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달지 않으니 건강에 좋을 것 같고,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될 것 같죠.그런데 과연 이 '저당' 표시,어디까지 믿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⑤] “덜 짜다더니 짜네?” 나트륨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먹기
한국인은 오랫동안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는식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실제로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권장량을 크게 초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⑥] 저지방? 무지방? 지방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드시나요?
최근 다이어트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저지방', '무지방', '지방을 줄였어요' 같은 문구가 붙은 식품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표시들,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드시나요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⑦] 단백질 바, 진짜 고단백일까? 영양표시 기준 확인법
헬스 아니어도 단백질!이젠 단백질이 ‘근육’보다 ‘건강’과 직결되는 키워드가 됐습니다.마트, 편의점만 가도“고단백! 단백질 풍부! 단백질 바!”라는!” 문구들이 넘쳐나죠.그런데… 정말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⑧] 식이섬유 함유? 고식이섬유? 정확한 기준 알려드립니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이섬유가 주목받고 있어요.장 건강과 혈당 조절, 체중 관리까지!오늘은 우리가 마트에서 자주 보는 ‘고식이섬유’ 표시가 어떤 기준으로 붙는 것인지,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⑨-1] 비타민 표시기준 (1편): 종류부터 결핍·과잉까지 한눈에!
비타민은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한 영양소입니다.부족하면 결핍 증상이, 많으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요.이 글에서는 비타민의 종류와 기능, 급원 식품부터결핍·과잉 섭취 시 나타나는 문제까지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⑩] 무기질, 얼마나 알고 먹고 계신가요?
건강기능식품뿐 아니라 일반 가공식품에서도칼슘·철·아연 등 무기질 표시가 자주 보이지만,이 표시의 기준이 무엇인지 아시나요?이번 글에서는 무기질 시장 동향부터기능, 급원 식품, 결핍·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마무리] 영양정보, 이제는 편하게 읽어보자
식품 포장지 속 ‘저당’, ‘저지방’, ‘고단백’ 같은 문구들,알고 보면 모두 기준이 있다는 사실!이 시리즈를 통해 우리는 그 기준을 하나씩 살펴보았습니다.이제 영양표시를 스치듯 보는 게
food-father.com
'식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조표시 시리즈 마무리] 영양정보, 이제는 편하게 읽어보자 (2) | 2025.03.26 |
---|---|
[강조표시 시리즈⑩] 무기질, 얼마나 알고 먹고 계신가요? (2) | 2025.03.26 |
[강조표시 시리즈 ⑨-1] 비타민 표시기준 (1편): 종류부터 결핍·과잉까지 한눈에! (2) | 2025.03.25 |
[강조표시 시리즈 ⑧] 식이섬유 함유? 고식이섬유? 정확한 기준 알려드립니다 (6) | 2025.03.25 |
[강조표시 시리즈 ⑦] 단백질 바, 진짜 고단백일까? 영양표시 기준 확인법 (4)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