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비자체크리스트4

[원산지 표시기준⑥]“국산인가? 수입산인가?” 소비자를 위한 원산지 표시 체크리스트 총정리 식탁 위 신뢰, 원산지에서 시작됩니다소비자가 식품을 선택할 때가장 먼저 보는 정보 중 하나가바로 ‘원산지’입니다.“국산 김치”, “국내산 고사리”, “00농장 계란”…대부분의 소비자들이 마주하는 원산지 표기는그 자체로 신뢰의 표식이죠. 그러나 ‘국산’이라는 단어 하나로 모든 재료가국산이라 믿었다가 실망한 경험,한 번쯤은 있으셨을 거예요. 실제로 원산지 표시가 부정확하거나누락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농·수·축산물부터 가공식품,복합원재료, 김치류와 절임류까지 총망라하여원산지 표시 기준을 정리해왔습니다. 마지막 편에서는 소비자가 실제 쇼핑 현장에서혼동 없이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체크리스트 형식으로 핵심만 쏙쏙 정리해드립니다.이 체크리스트를 통해 원산지 표시 기준을정확히 이해하고 소비자.. 2025. 4. 22.
[원산지 표시기준⑤-2] “가공식품 원산지 표시, 복합원재료와 김치류는 특별하다?” 복합원재료와 김치·절임류,표시기준은 다릅니다가공식품에 사용되는원재료는 단순하지 않습니다. 특히 김치류나 절임류처럼전통 식품의 경우 소비자의 신뢰가중요한 만큼 별도 표시 기준이정해져 있습니다. 이번편에서는 앞에서 다룬 기본 구조와예외 원료 기준에 이어, 복합원재료 표시기준,김치류 및 절임류 표시기준,김치가 복합원재료로 쓰일 경우의 표시기준,그리고 실제 사례 비교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1. 복합원재료 표시 기준복합원재료란 두 가지 이상의식품 원료로 구성된 재료로, 김치, 된장,양념소스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복합원재료가 전체 제품의 원재료 중상위 3순위 이내일 경우,원산지 표시가 의무입니다. 이 경우 해당 복합원재료 안의농수축산물 성분 중 상위 2개 원료의원산지를 함께 표시해야 합니다. 예시: 김.. 2025. 4. 21.
[계란 표시 제대로 읽기 ②] 난각번호와 계란 규격·등급 완벽 정리하기! 달걀 껍데기에 찍힌 숫자와 알 크기 구분.그냥 무심코 넘기기 쉽지만,알고 보면 이 작은 정보가 소비자에게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오늘은 난각번호와 계란 규격(중란, 대란 등),품질등급(1등급 등)의 정확한 의미를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① 난각번호, 무슨 정보를 담고 있을까? 🔢🐣달걀 표면에 인쇄된 숫자, 즉 난각번호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산란일자 : 달걀이 생산된 날짜 (월일, MMDD 표기)생산자 고유번호 : 농장 구분을 위한 식별 번호사육환경 번호1번: 방사(자유롭게 돌아다니는 환경)2번: 평사(바닥에서 키우는 환경)3번: 개선된 케이지(개선된 좁은 닭장)4번: 일반 케이지(기존 좁은 닭장 환경)특히, 사육환경 번호는 닭의 사육환경 수준을 직접적으로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2025. 3. 29.
[계란 표시 제대로 읽기 ①] 유정란·동물복지·무항생제 달걀 제대로 알고 드세요! 마트에서 흔히 보게 되는 '유정란', '동물복지 인증', '무항생제 인증' 표시가 된 달걀들.표시는 화려하고 좋아 보이지만,소비자는 이들 표시가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달걀 표시의 정확한 의미와 오해를 풀어드리고자 합니다.과연,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의미가 맞을까요? 🐔✨① 유정란의 진짜 의미, 알고 계셨나요? 🥚🐣‘유정란’이란 수탉과 암탉이 함께 사육되어 수정 가능성을 지닌 달걀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슈퍼마켓에서 만나는 대부분의 달걀은무정란(수정되지 않은 알)이지만,최근 유정란이 건강에 더 좋다는 막연한 생각으로 인기를 끌고 있죠. 하지만 실제로 영양이나 맛에서 유정란과 무정란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유정란이 더 영양가 있거나 더 안전하다는 이.. 2025.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