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명한 식품 선택

[이 음료, 뭐가 다를까? ⑨-1] 이름도 모호한 기타음료류, 기준은 뭘까?

by likefood 2025. 4. 13.
반응형

차도 아니고, 주스도 아니고…
이런 건 다 '기타음료'?

헛개맛 음료, 허브워터, 비타민워터,

곡물베이스 음료처럼 도대체

어떤 카테고리에 들어가는지

헷갈리는 음료들 많죠.

 

과채주스는 아닌 것 같고,

차라고 하기엔 고형분도 부족하고,

기능성도 없지만

뭔가 건강해 보이는 이런 음료들.

 

도대체 ‘기타음료류’라는 건

뭘 기준으로 분류되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기타음료류’의

정의와 범위, 표시기준, 오해하기 쉬운

예시들을 정리해 봅니다.


1. 기타음료의 정의

모든 음료의 '그 외' 항목

식품공전에서는 기타음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기타음료라 함은 먹는 물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동·식물성 원료를

이용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가공한 것으로서

다른 식품유형으로

정해지지 않은 음료를 말한다.

 

또한 기타 음료류에는

아래와 같은 세부 유형이

포함됩니다.

  • 혼합음료
    먹는 물 또는 동·식물성 원료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가공한 것
  • 음료베이스
    동·식물성 원료를 이용하여
    가공한 것이거나, 이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것으로서,
    먹는 물 등과 혼합하여
    음용하도록 만든 제품

즉, 다른 명확한 유형

다류, 과채주스, 탄산음료, 커피류 등

어디에도 속하지 않지만

바로 음용이 가능한 액상 형태

대부분 '혼합음료',
희석하여 음용하는 농축액,
분말형태
등은 '음료베이스'로

분류되는 셈입니다.

 

이 범주는 굉장히 넓고

유연한 대신, 표시 기준이 다소

애매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2. 기타음료로 분류되는 주요 예시들

  • 헛개맛 음료
    고형분 기준 미달 시 다류가
    아닌 기타음료로 분류
  • 허브워터, 꽃잎워터
    허브 추출물이나
    향만 첨가된 제품
  • 곡물우유, 식물성 워터
    두유, 귀리음료에서
    고형분 부족하거나
    영양강조 없는 음료
  • 기능성 워터류
    비타민워터, 이온워터
    (기능성 표시 없는 경우)
  • 맛 음료
    맛만 있는 수분 보충 음료

이러한 제품들은 대부분

'맛', '기분', '이미지'를

전달하는 목적이 크며,

실제 영양소나 기능성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3. 표시기준상 주의사항

맛과 향만으로는 '○○차',
'○○주스' 못 쓴다

기타음료는 성분 또는

원료 기준 미달로 인해

다른 명칭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분류이기 때문에,

제품명 또는 광고 문구에서

소비자 오인을 일으킬

표현을 주의해야 합니다.

  • ❌ ‘○○차’, ‘○○주스’ 등 명칭 사용 금지
    (다류/과채주스 기준 미달 시)
  • ✅ ‘○○맛 음료’, ‘○○향 음료’
    등으로 표시해야 함
  • ❌ 기능성 표현 사용 금지
    (예: 간 건강에 좋음, 피로회복 등)

✅ 예: '헛개맛 음료'는
다류 기준 미달 시
기타음료로 분류되며,
'헛개차'라고 표시할 수 없습니다.


4. 소비자 체크리스트

기타음료, 이렇게 확인하세요

  • 제품명에 ‘차’, ‘주스’, ‘워터’가
    붙어 있어도 식품유형이 ‘기타음료류’인지 확인
  • 고형분, 과즙함량, 원재료 비율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기타음료일 가능성 높음
  • 기능성 문구나 건강 효과 암시 문구는
    식약처 인증 여부 확인 필요
  • 영양소 강화 없이 향과 맛 중심이라면
    기호성 음료로 인식하는 것이 합리적

기타음료는 '기타'라는 이유로 더 꼼꼼히

기타음료류는 가장 넓고 다양한

음료들이 포함된 유형이지만,

그만큼 표시기준이 느슨하거나

소비자 오인을 유도할 수 있는

여지가 많습니다.

 

제품명을 그대로 믿기보다,

식품유형과 원재료명, 성분표를

먼저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기타'라고 적혀 있다고

아무거나 마셔도 되는 건 아니니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