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명한 식품 선택

[원산지 표시기준⑤-2] “가공식품 원산지 표시, 복합원재료와 김치류는 특별하다?”

by likefood 2025. 4. 21.
728x90
반응형

블로그 썸네일

복합원재료와 김치·절임류,
표시기준은 다릅니다

가공식품에 사용되는

원재료는 단순하지 않습니다.

 

특히 김치류나 절임류처럼

전통 식품의 경우 소비자의 신뢰가

중요한 만큼 별도 표시 기준

정해져 있습니다.

 

이번편에서는 앞에서 다룬 기본 구조와

예외 원료 기준에 이어, 복합원재료 표시기준,

김치류 및 절임류 표시기준,

김치가 복합원재료로 쓰일 경우의 표시기준,

그리고 실제 사례 비교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1. 복합원재료 표시 기준

복합원재료란 두 가지 이상의

식품 원료로 구성된 재료로, 김치, 된장,

양념소스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복합원재료가 전체 제품의 원재료 중

상위 3순위 이내일 경우,

원산지 표시가 의무입니다.

 

이 경우 해당 복합원재료 안의

농수축산물 성분 중 상위 2개 원료

원산지를 함께 표시해야 합니다.

 

예시: 김치양념[고춧가루(국산), 마늘(중국산)]

 

✅ 복합원재료의 원산지 표시는

주표시면이 아닌 ‘원재료명 및 함량’ 란에’란 기재하며,

글자 크기 10포인트 이상, 진한 글씨로 표기해야 합니다.


2. 김치류 표시 기준

김치류는 고춧가루 사용 여부에

따라 원산지 표시 범위가 달라집니다.

  • 고춧가루 사용 김치류
    가장 많이 쓰인 원재료 1종(예: 배추)
    + 고춧가루 원산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 고춧가루 미사용 김치류
    상위 2종 원료(예: 무, 배)
    + 소금의 원산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 고춧가루는 항상 별도 표기해야 하며,

색감과 소비자 인식 영향이 크기 때문에

빠짐없이 기재해야 합니다.


3. 절임류 표시 기준

절임류(장아찌, 피클, 젓갈 포함)는 배합비율

상위 2종 원료 + 소금의 원산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절임류에서 소금은 제품의 핵심 제조 공정

해당하므로, 김치류와 마찬가지로

필수 표시 대상으로 구분됩니다.

 

✅ 김치류 및 절임류 모두에서 고춧가루와

소금은 단순 부재료가 아닌 필수 표시

대상이라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4. 김치류가 복합원재료로 사용된 경우

김치가 만두, 김밥, 볶음밥 등 다른 제품의

재료로 사용될 경우에도 복합원료 기준에

따라 원산지를 표시해야 합니다.

 

김치가 상위 3순위 안에 포함될 경우,

김치 구성 성분 중 상위 2개 성분의 원산지를 표시

 

예: 김치볶음밥[김치(배추: 국산,

고춧가루: 중국산), 쌀(국산), 햄(국산)]

 

✅ 김치가 복합원료로 쓰일 경우에도

배추와 고춧가루 같은 핵심 성분

원산지 확인은 필수입니다.


5. 실제 표시 예시 비교표

구분 올바른 예 부적절한 예
복합원재료 김치양념[고춧가루(국산), 마늘(중국산)] 김치양념(국산) ← 전체 오인 가능
김치류 (고춧가루 사용) 배추(국산), 고춧가루(중국산) 김치(국산) ← 핵심 재료 누락, 오인 가능
김치류 (고춧가루 미사용) 무(국산), 배(국산), 소금(국산) 백김치(국산) ← 소금 누락, 단순 강조 표현
절임류 오이(국산), 마늘(중국산), 소금(국산) 장아찌(국산) ← 배합 재료 생략된 포괄 표현
김치 복합원재료 사용 예시 김치볶음밥[김치(배추: 국산, 고춧가루: 중국산)] 김치볶음밥(김치: 국산) ← 2차 원재료 표시 누락

 

✅ 항상 원재료명 + 괄호 속 원산지조합을

함께 확인해야 하며, 간단한 표현일수록

실제 구성 성분과 일치하는지

꼼꼼히 살펴보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표시를 보는 눈이 곧 소비자 권리입니다”

김치, 절임류처럼 익숙한 식품일수록

‘당연히 국산일 거야’라는 인식이 자리 잡기 쉽습니다.

 

하지만 가공식품의 원산지 표시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정보보다 복합적이며,

세부 규정에 따라 달라지는 점이 많습니다.

 

우리가 매일 먹는 식재료인 만큼,

한 줄짜리 원산지 정보에 속지 않고,

포장지 속 표시 기준을 제대로 읽어내는 눈이 필요합니다.

 

👉

다음 시리즈에서는 소비자들이

꼭 알아야 할 원산지 표시 체크리스트를 정리해 드립니다.

📋 출처
식품 등의 표시기준(고시 제2024-41호)
농림축산식품부 원산지 표시 종합안내 (2024)
식약처 식품표시법 해설집(20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