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기름의 대명사, 식물성 유지
식물성 기름이라고 하면 왠지 건강할 것 같고,
동물성 지방보다 안전하다는
이미지가 떠오르지 않나요?
실제로 많은 소비자가 요리용 기름을 고를 때
‘식물성’이라는 단어를 보고 안심하곤 합니다.
하지만 모든 식물성 기름이 무조건 좋은 건 아닙니다.
어떤 원료에서 추출했는지, 어떻게 정제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쓰이는지에 따라
그 영향은 크게 달라지죠.
이번 글에서는 식물성 기름이 무엇인지부터,
국내외 시장 흐름과 트렌드, 소비자의 선택 기준까지
핵심만 정리해드립니다.
1. 식물성 유지란 무엇인가요?
식물성 유지는 곡류, 두류, 견과류, 씨앗류, 과실 등
식물에서 추출한 기름을 뜻합니다.
주로 씨앗을 압착하거나, 화학 용매를 이용해
지방을 추출한 뒤 정제하여 식용으로 사용합니다.
📌 대표적인 식물성 유지 종류:
- 대두유 (콩기름)
- 카놀라유
- 해바라기유
- 포도씨유
- 올리브유
- 팜유 등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서는
"식물성 유지"를 원료 기준으로 세부 분류하고 있으며,
'정제유', '압착유', '엑스트라 버진'처럼
제조 방식에 따른 차이도 명확히 구분하고 있습니다.
2. 식물성 기름의 분류 기준
식물성 유지는 원료와
제조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① 원료 기준
- 씨앗류 :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참기름
- 과실 : 올리브유, 아보카도유
- 열대작물 : 팜유, 코코넛오일 등
② 정제 방식 기준
- 정제유(refined oil) : 불순물 제거, 색상·냄새 제거로 깔끔한 맛. 대량생산에 적합
- 압착유(expeller-pressed oil) : 기계로 눌러 기름을 짜내는 방식. 향이 풍부함
- 냉압착유(cold-pressed) : 고온 처리 없이 착유하여 영양소 파괴가 적음
- 엑스트라버진(Extra Virgin) : 주로 올리브유에서 사용되는 최고등급의 냉압착 기름
3. 국내외 식물성 유지 시장 트렌드
✅ 글로벌 시장
팜유는 여전히 전 세계 식용유 소비량의
약 1/3을 차지하며 가공식품 산업에서 핵심 원료로 쓰입니다.
반면, 소비자 건강 의식 상승으로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등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 중입니다.
아보카도유, 호호바오일, 코코넛오일 등
프리미엄 식물성 유지도 고소득층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 국내 시장
국내에서도 대두유(콩기름)가 여전히 가장 많이 사용되며,
가격 대비 용도 활용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저온착유, 유기농, 무첨가를 강조한
기름 제품이 늘어나고 있으며, 백화점·온라인 중심으로
고급 기름 시장이 성장 중입니다.
▶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은 하루 평균 지방을 57.7g 섭취하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특히 '식물성 기름 = 건강'이라는 인식이 강해지며,
포화지방이 적고 오메가-3/오메가-6 지방산이
풍부한 기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4. 식물성 기름 고를 때 무엇을 봐야 할까?
✔ 정제 방식
- 정제유는 안정성과 경제성이 높지만, 향과 영양소는 줄어들 수 있음
- 냉압착이나 저온착유 제품은 고가이지만, 자연 그대로의 성분을 보존
✔ 용도에 맞는 선택
- 튀김용 : 발연점이 높은 카놀라유, 포도씨유
- 드레싱용 : 향이 풍부한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유, 들기름
- 볶음용 : 고온안정성과 향의 균형이 좋은 해바라기유, 참기름
✔ 영양성분 확인
포화지방보다 불포화지방(특히 오메가-3) 비율이 높은 제품 추천
식물성 유지, '건강한 기름'을 넘어선 선택 기준
식물성 기름은 단순히 '식물에서 나왔다'는
이유만으로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원료, 정제 방식, 영양 성분, 용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진짜
내 몸에 맞는 기름을 고를 수 있죠.
다음 글에서는 식물성 유지 중에서도
가장 흔하고도 오래된 기름,
콩기름에 대해 깊이 파헤쳐보겠습니다.
📌 참고자료 및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
질병관리청 『2023 국민건강통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등의 표시기준 고시』 (2024.07.24)
'현명한 식품 선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류 시리즈②] 전통 vs 개량 – 메주의 모든 것 (57) | 2025.04.23 |
---|---|
[장류 시리즈①] 장의 세계,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43) | 2025.04.23 |
[식용유지류 시리즈 ①] 식용유, 알고 쓰고 계신가요? (63) | 2025.04.22 |
[원산지 표시기준⑥]“국산인가? 수입산인가?” 소비자를 위한 원산지 표시 체크리스트 총정리 (66) | 2025.04.22 |
[원산지 표시기준⑤-2] “가공식품 원산지 표시, 복합원재료와 김치류는 특별하다?” (84)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