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강조표시 시리즈 ⑦] 단백질 바, 진짜 고단백일까? 영양표시 기준 확인법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3. 25.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반응형
헬스 아니어도 단백질!
이젠 단백질이 ‘근육’보다 ‘건강’과 직결되는 키워드가 됐습니다.

마트, 편의점만 가도
“고단백! 단백질 풍부! 단백질 바!”라는!” 문구들이 넘쳐나죠.

그런데… 정말 다 ‘고단백’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단백질 강조 표시 기준’을 제대로 알려드릴게요.

 

1. 단백질 시장, 얼마나 성장했을까?

단백질은 이젠 운동선수 전유물이 아니에요.
다이어트, 당 관리, 건강 간식등 다양한 수요로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어요.

 

식약처 2023 식품 소비 트렌드에 따르면,
영양강조 표시 식품 중 단백질 제품 비율은 11.6%,
3위를 차지했어요!

 

단백질 바, 요구르트, 음료, 시리얼 등
먹기 편하고 간편한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어요.

 

실제 국내 성인 1일 단백질 섭취량은 평균 73g입니다.

남성 84.1g, 여성 61.4g으로 성인 권장량인 50~60g을 충분히 섭취하고 있습니다.

✅ 출처: 국민건강영양조사 2023

2. 단백질의 종류와 급원 식품

단백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요.
  • 🐄 동물성 단백질: 고기, 생선, 계란, 우유 등
  • 🌱 식물성 단백질: 콩류, 곡물, 견과 등

✅ 완전 단백질 (Complete Protein)

‘필수 아미노산 9종’을 모두 포함한 단백질을 말해요.
이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합니다.

필수 아미노산 9종
라이신, 이소류신, 류신, 트레오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발린, 페닐알라닌, 히스티딘

 

완전 단백질 식품 예시:🥚 계란, 🥛 우유, 🐟 생선, 🥩 고기, 🌾 대두(두부), 🍚 퀴노아

⚠ 불완전 단백질 (Incomplete Protein)

필수 아미노산 중 한두 가지 이상이 부족한 단백질을 말해요.
주로 곡류(쌀, 밀), 일부 채소, 견과 등에 포함돼요.

단, 식물성 단백질도 서로 보완해서 섭취하면 완전 단백질처럼 활용 가능해요!
예: 콩 + 쌀조합 = 부족한 아미노산을 서로 보완

 

 

🔎 주요 식품별 단백질 함량 (100g 기준)

식품 단백질 함량
닭가슴살 23~25g
삶은 달걀 12.5g
두부 8g
검은콩 21g
그릭요거트 10g 이상
흰쌀밥 2.5g (불완전 단백질)

3. 🍽 단백질, 얼마나 먹어야 할까?

반응형
단백질은 단순히 근육을 만드는 영양소가 아니에요.
우리 몸 구석구석을 책임지는 생명의 재료입니다!

 

✅ 단백질의 주요 역할

  • 🧱 근육, 피부, 장기, 머리카락 등 모든 조직의 구성 성분
  • 🧬 호르몬·효소의 원료(예: 인슐린, 소화효소 등)
  • 🛡 면역력 유지와 회복을 돕는 핵심 영양소
  • 🔄 상처 회복과 세포 재생에도 관여
  • 🔋 탄수화물이 부족할 경우,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도 해요

🧮 얼마나 먹어야 할까?

단백질 필요량은 나이, 성별, 체중, 활동량에 따라 달라져요.

📌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2020)
  • 👨 성인 남성: 하루 65g
  • 👩 성인 여성: 하루 50g

💡 간편 계산법

체중(kg) × 0.8g = 하루 필요 단백질량
📍 예: 체중 60kg 성인 → 60kg × 0.8g = 48g

 

🏃‍♀ 활동량 많다면? 단백질도 ↑

대상 권장량
🏋 운동하는 사람 체중 × 1.2~2.0g
🤰 임산부 +15g (2~3기)
🧓 노인 (65세 이상) 체중 × 1.0~1.2g 권장

 

운동을 자주 하거나 회복 중인 사람은
기초 필요량보다 더 많은 단백질 섭취가 필요해요!

 

❗ 놓치기 쉬운 포인트

  • ⚠ 단백질 많이 먹는다고 다 흡수되는 건 아니에요.
    소화·흡수 능력, 다른 영양소와의 균형도 중요해요.
  • 🍚 탄수화물과 함께 먹을 때 단백질이 에너지로 전환되지 않고
    근육 합성에 더 잘 쓰일 수 있어요!

💬 단백질 섭취량 = 단순히 '많이 먹기'가 아닌, '적절히 잘 먹기'가 핵심!


4. 📏단백질 강조표시 기준, 이건 꼭 알아두세요!

식약처는 단백질 관련 표시 문구를
다음과 같이 명확히 고시하고 있습니.

① 함유 / 급원기준

1일 영양성분 기준치(55g)를 기준으로

다음 중 하나를 만족하면
“단백질 함유”, “단백질의 급원”이라는 문구 사용 가능

  • 100g당≥ 5.5g (고형 식품)
  • 100mL당≥ 2.75g (액상 식품)
  • 100kcal당≥ 2.75g
  • 1회 섭취참고량당 1일 영양성분기준치의 10% 이상≥ 5.5g

② 고 / 풍부기준

위 기준의 2배 이상일 때 사용 가능

  • 100g당≥ 11g
  • 100mL당≥ 5.5g
  • 100kcal당≥ 5.5g
  • 1회 섭취참고량당 1일 영양성분기준치의 11g 이상(기준치의 20%)

③ 표시 허용 오차 범위

📌 표시된 단백질 함량의 80% 이상은 실제로 들어 있어야 합니다!

즉, 단백질 10g 함유라고 표시했다면

실제 측정값은 8g 이상이어야 법적 기준에 부합해요.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등의 표시기준」(고시 제2024-41호),
[별표 5] 영양성분 표시 기준 및 허용오차 기준

5. 📝 단백질 식품, 이렇게 고르세요

단백질 제품, 표시만 믿지 마세요!

 

단백질 함량(g): 1회 섭취량 기준 확인
✔ 표시 기준 충족 여부: 5.5g 이상(함유), 11g 이상(고단백)
✔ 당·지방 함량도 함께 체크
✔ 단백질 종류(유청, 콩, 완두 등)도 살펴보기
✔ 기능성 문구(면역, 근육 등)는 인증 여부 확인


6. 🧩 마무리하며

요즘 단백질은 먹기 쉬운 간편식 형태로 다양하게 나옵니다.

 

하지만 고단백 문구만 보고 고르면 오히려
당류·지방 과다 제품을 고를 수도 있어요.

 

📊 영양성분표 속 숫자와 기준,
이제는 꼭 함께 보세요!

 

[강조표시 시리즈 ①] "무첨가"의 함정 - 식품 표시사항 제대로 읽는 법

마트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눈에 띄는 문구 중 하나가 바로 "무첨가"입니다.무방부제, 무색소, 무설탕 등 다양한 표현으로 소비자의 건강한 선택을 유도합니다.하지만 이 "무첨가" 표시가 항상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②] "저", "고" 함량표시는 믿을 수 있을까?

마트에서 식품을 고르다 보면 '저당', '저지방', '고칼슘' 같은 문구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이 표현들은 과연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③] 무가당 vs 무설탕 vs 제로슈가 – 같은 말일까, 다른 말일까?

마트에서 음료나 간식을 고르다 보면'무가당', '무설탕', '제로슈가'라는 문구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모두 당이 없다는 의미일까요? 아니면 각각 다른 기준과 의미가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 헷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④] 저당 표시, 진짜 당이 적을까? 기준부터 오해까지 총정리

마트나 편의점에서'저당', 'Low Sugar', '당을 줄였어요'같은 문구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달지 않으니 건강에 좋을 것 같고,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될 것 같죠.그런데 과연 이 '저당' 표시,어디까지 믿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⑤] “덜 짜다더니 짜네?” 나트륨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먹기

한국인은 오랫동안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는식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실제로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권장량을 크게 초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⑥] 저지방? 무지방? 지방 표시기준, 제대로 알고 드시나요?

최근 다이어트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저지방', '무지방', '지방을 줄였어요' 같은 문구가 붙은 식품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표시들,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드시나요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⑧] 식이섬유 함유? 고식이섬유? 정확한 기준 알려드립니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이섬유가 주목받고 있어요.장 건강과 혈당 조절, 체중 관리까지!오늘은 우리가 마트에서 자주 보는 ‘고식이섬유’ 표시가 어떤 기준으로 붙는 것인지,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⑨-1] 비타민 표시기준 (1편): 종류부터 결핍·과잉까지 한눈에!

비타민은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한 영양소입니다.부족하면 결핍 증상이, 많으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요.이 글에서는 비타민의 종류와 기능, 급원 식품부터결핍·과잉 섭취 시 나타나는 문제까지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⑨-2] 비타민 표시기준 (2편): 법적 기준부터 소비자 체크리스트까지!

식품에 붙은 “비타민 풍부”, “비타민C 함유”라는 문구,정말 믿어도 될까요?이 글에서는 식품 표시기준에 따른 강조 문구의 법적 기준과소비자가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를 정리했습니다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⑩] 무기질, 얼마나 알고 먹고 계신가요?

건강기능식품뿐 아니라 일반 가공식품에서도칼슘·철·아연 등 무기질 표시가 자주 보이지만,이 표시의 기준이 무엇인지 아시나요?이번 글에서는 무기질 시장 동향부터기능, 급원 식품, 결핍·

food-father.com

 

[강조표시 시리즈 마무리] 영양정보, 이제는 편하게 읽어보자

식품 포장지 속 ‘저당’, ‘저지방’, ‘고단백’ 같은 문구들,알고 보면 모두 기준이 있다는 사실!이 시리즈를 통해 우리는 그 기준을 하나씩 살펴보았습니다.이제 영양표시를 스치듯 보는 게

food-fath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