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주목받는 시급 결정, 2026년은 얼마?
매년 이맘때쯤이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는 뉴스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내년 최저시급'입니다.
2026년도 최저임금이 드디어 결정되었고,
내년부터는 시급 10,320원이 적용됩니다.
물가상승과 경제성장률, 자영업자의 부담,
청년·비정규직 근로자의 생계 등을 모두 고려해
결정되는 이 숫자는 단순한 금액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지금부터 2026년 시급이 어떻게 결정되었는지,
최근 10년간의 흐름은 어땠는지,
그리고 실제 내 월급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2026년 시급은 어떻게 결정됐나? + 최근 10년간 흐름
2026년도 최저시급은 2025년 7월 11일,
고용노동부 산하 최저임금위원회의 전원회의에서
표결을 통해 결정되었습니다.
노동자위원, 사용자위원, 공익위원이 각각의 입장을
두고 치열한 논의와 조정을 거친 끝에
결정된 시급은 10,320원입니다.
이는 2025년(9,860원) 대비 약 4.7% 인상된 수치입니다.
최근 10년간 최저시급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2017년: 6,470원
- 2018년: 7,530원 (+16.4%)
- 2019년: 8,350원 (+10.9%)
- 2020년: 8,590원 (+2.9%)
- 2021년: 8,720원 (+1.5%)
- 2022년: 9,160원 (+5.0%)
- 2023년: 9,620원 (+5.0%)
- 2024년: 9,860원 (+2.5%)
- 2025년: 9,860원 (동결)
- 2026년: 10,320원 (+4.7%)
문재인 정부 초기였던 2018~2019년에
가파른 상승이 있었고, 이후 점진적 조정이 이어졌습니다.
2025년에는 처음으로 동결되었지만,
2026년에는 다시 상승세를 탔습니다.
이는 경기 회복세, 청년층의 생계 부담 등을
고려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월급으로 따지면 얼마? 전년 대비 얼마나 늘었나?
2026년 최저시급은 10,320원으로 확정되었고,
2025년의 9,860원보다 인상된 금액입니다.
먼저 월 기본 근로시간인 209시간을 기준으로
월급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월 기본급 = 9,860원 × 209시간 = 2,061,740원
▶ 2026년 월 기본급 =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 기본급만 비교해도 월 95,140원 상승
여기에 법정 연장근로시간 한도인
주 12시간을 모두 채웠다고 가정하면
월 연장근로는 약 52시간입니다.
연장수당은 시급의 1.5배가 적용되므로:
▶ 2025년 연장수당 = 9,860 × 1.5 × 52 = 769,380원
▶ 2026년 연장수당 = 10,320 × 1.5 × 52 = 803,280원
→ 연장수당 차이만 월 33,900원 상승
📌 최종 총 월급 비교 (기본급 + 연장수당)
- 2025년: 2,061,740 + 769,380 = 2,831,120원
- 2026년: 2,156,880 + 803,280 = 2,960,160원
→ 전년 대비 월 약 129,040원 인상
단순한 시급 인상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 월 수령액 기준으로는
연간 150만 원 이상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근로자 입장에서는 생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사업자 입장에서는 인건비 조정 계획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최저임금 인상 흐름을 파악하고
나의 근로계약 조건도 다시 점검해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통법 폐지로 휴대폰 가격 폭락? 소비자가 꼭 알아야 할 꿀팁 총정리! (43) | 2025.07.21 |
---|---|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 국민 최대 55만원, 놓치지 말자! (9) | 2025.07.16 |
[2025 청년기본소득] 연 100만원 신청 방법부터 지급까지 완벽 정리 (11) | 202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