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정보

'1% 미만'이면 표시 안 해도 된다고?(식품 성분표, 생략기준, 소비자 주의사항)

by 먹거리연구소장 2025. 5. 26.
  • 핀터레스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반응형

'혼합제제' 속에 뭐가 들었는지 알고 계신가요?

식품 포장지 속 원재료명에 ‘기타가공품’, ‘혼합제제’ 등 모호한 표현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사실 이들 중 상당수는 1% 미만의 소량 성분으로, 표시가 생략된 경우입니다. 본 글에서는 ‘총중량 1% 미만’ 성분의 표시 생략 기준과 그 법적 근거, 소비자가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1% 이하 성분, 왜 표기 안 해도 될까?

반응형

식품의 원재료명을 보면 ‘합성향료’, ‘혼합제제’, ‘기타가공품’ 등 정체를 알기 힘든 명칭이 적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대부분 ‘총중량 1% 이하’로 사용된 성분이기 때문에 개별 표기를 생략해도 된다는 규정에 따른 것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고시한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개별 성분 표시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 혼합제제 중 1% 이하 성분
  • 향료, 효소제, 안정제, 산화방지제 등 식품첨가물
  • 기타가공품이나 복합조미식품 안의 구성성분 중 1% 미만

이 기준은 제조사의 행정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이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식품에 정확히 어떤 성분이 들어 있는지 알기 어려워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제품 전면에 ‘무방부제’, ‘착향료 없음’ 등의 문구가 있다 해도, 실제로는 표시되지 않은 소량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2. 소비자에게 중요한 이유 – 성분 생략이 부를 수 있는 문제

1% 미만 성분이 문제 되는 이유는 단순한 정보 부족을 넘어서 알레르기 유발, 특정 성분에 대한 민감 반응, 제품 선택 기준 왜곡 등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혼합제제(정제소금, 유화제 등)’이라는 표기만 있고 세부 내용이 없다면, 그 안에 합성보존료, 인공감미료, 착향료가 소량 포함되어 있어도 소비자는 알 수 없습니다.

이처럼 포괄적 명칭은 소비자의 판단을 어렵게 만듭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소비자군은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 어린이 및 고령자 대상 제품을 섭취하는 경우
  • 알레르기 체질 또는 특정 성분에 민감한 경우
  • 건강식품이나 식이요법용 식품을 구매할 때

또한 동일한 ‘혼합제제’ 표기를 쓰더라도 제조사마다 실제 성분 조합은 완전히 다를 수 있어 브랜드에 따라 품질이나 안전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식약처는 이러한 혼동을 줄이기 위해 주성분 3순위 또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은 반드시 표기하게 하고 있지만, 1% 미만 일반 성분의 표기 의무는 아직 제한적입니다. 2024년 식약처의 정책 개정 방향에 따르면, 특정 제품군에 대해 생략 기준을 보다 엄격하게 바꾸는 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3. 소비자가 할 수 있는 합리적 대응법

소비자는 정보 비대칭 속에서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실제로 활용 가능한 소비자 행동 팁입니다.

  • 제조사 문의 – 제품에 ‘기타가공품’, ‘혼합제제’ 같은 표기가 있다면,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상세 성분 정보를 요청해보세요.
  • 표기 생략 가능 성분의 범위 이해 – 향료, 색소, 산화방지제 등은 소량 사용 시 생략되므로, 특정 성분에 민감하다면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 대상별 제품 선택 기준 강화 – 어린이, 임산부, 고령자 등 민감 소비자층에게는 ‘무첨가’ 문구보다는 실제 원재료명과 식품첨가물 정보 확인이 더욱 중요합니다.
  • 정부 공공 데이터 활용 –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를 통해 일부 제품의 상세 성분, 제조·수입 이력 등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작다고 해서 가볍게 보면 안 되는 ‘1% 미만 성분’

표시되지 않았다고 없는 건 아닙니다. 총중량 1% 미만이더라도,

우리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성분은 존재합니다.

 

소비자의 알 권리를 위해 정부는 제도를 보완해야 하고,

소비자는 정보에 민감해져야 합니다.

똑똑한 소비의 시작은 성분표를 읽는 데서부터 시작됩니다.

 

[이 식품, 왜 영양정보가 없지?] 영양표시 의무대상과 예외 규정

👀 식품 포장지 속 숫자, 제대로 읽고 계신가요?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식품 포장지에는 다양한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 ‘100g당’, ‘1회 제공량’, ‘열량 75kcal’, ‘DHA 300mg’, ‘총중량 85g(고

food-father.com

 

[100g당, 1회 제공량당 영양성분?] 무엇을 기준으로 봐야 할까

👁‍🗨 ‘100g당’과 ‘1회 제공량’, 어떻게 다른가요?식품 포장지를 보다 보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 바로 열량과 나트륨, 당류 등 영양성분입니다. 그런데 어떤 제품은 ‘100g당’, 어

food-father.com

 

[영양성분 기준치 %는 어떻게 계산되나?] 퍼센트로 보는 건강

📊 퍼센트(%)로 적힌 영양정보, 어떻게 해석하시나요?식품 포장지 뒷면의 영양정보표에는 ‘나트륨 27%’, ‘포화지방 18%’처럼 퍼센트로 표시된 수치들이 많습니다. 이 숫자는 보통 ‘1일 영양

food-father.com

 

[‘총내용량’ vs ‘낱개표시’] 소비자는 왜 헷갈릴까?

📐 ‘총 내용량’과 ‘내용량(g)’, 같은 숫자지만 해석은 다르다?마트나 편의점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총 내용량 200g(20g × 10개)’처럼 적힌 포장지를 본 적이 있으신가요? 숫자는 분명해 보

food-father.com

 

[양은 줄고 가격은 그대로?] 슈링크플레이션 숫자 읽는 법

📉 무심코 지나친 20g, 소비자는 눈치챘을까?마트에서 늘 사던 과자가 어느 날 똑같은 가격인데 양이 줄어든 걸 눈치챈 적 있으신가요? 포장지 모양도 그대로, 디자인도 동일하지만 내용량이 20~3

food-father.com

 

[총중량은 많은데, 건더기는 왜 없을까] 괄호 숫자의 정체

🥄 총중량 85g? 고기 45g? 괄호 속 숫자가 말해주는 것식품 포장지를 보다 보면 ‘총중량 120g(건더기 20g)’, ‘총 150g(고기 60g)’처럼 괄호 안에 들어간 숫자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겉으로 보기

food-father.com

 

[‘열량(kcal)’은 왜 당, 지방보다 강조되는가?] 숫자에 숨은 마케팅 전략

🔥 열량(kcal)만 보고 건강하다고 생각하시나요?식품 포장지를 보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숫자, 바로 ‘열량(kcal)’입니다. 100kcal, 150kcal처럼 숫자만 보면 왠지 ‘부담 없을 것 같고’, ‘건강해

food-father.com

 

[‘1회 제공량’은 누구를 위한 기준?] 열량 착시를 읽는 법

🧮 열량이 낮다고? 1개 기준일 뿐입니다‘1개당 75kcal’, ‘1회 제공량당 90kcal’라는 문구를 보면, 소비자는 왠지 ‘이거 건강하겠다’, ‘괜찮은 간식이네’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잠

food-father.com

 

[100g당 가격은 착시였을까?] 계산 끝나니 더 비쌌다

💰 100g당 가격 표시 싼 줄 알았는데… 진짜일까?마트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100g당 980원’, ‘1L당 1,200원’ 같은 단위가격 표시를 본 적 있으시죠? 얼핏 보면 비교하기 쉬운 숫자 같지만, 이 숫

food-father.com

 

[유통기한 지나도 먹어도될까?] 소비기한 해석법

마트나 편의점에서 식품을 고를 때, ‘~까지’라고 적힌 날짜를 보고 “그때까진 괜찮겠지”라고 판단한 적 있으시죠? 하지만 그 숫자가 ‘유통기한’인지 ‘소비기한’인지에 따라, 제품을 먹

food-father.com

 

[‘0.01%’ 표시 믿어도 될까?] 미량 성분 함량의 진실

⚠ 0.01%? 있어 보이지만, 실은 거의 없는 수치입니다식품 포장지에 적힌 ‘○○추출물 0.01%’, ‘식물성 ○○ 0.05%’ 같은 숫자, 한 번쯤 눈에 띄셨을 겁니다. 이런 문구는 왠지 건강에 좋을 것 같

food-father.com

 

[영양성분 단위가 헷갈릴 때] mg, μg, IU 정리해드립니다

⚖ 숫자는 같아도 단위는 다르다? – 헷갈리는 영양성분 단위 정리해드립니다식품 포장지에 적힌 ‘300mg’, ‘25μg’, ‘1,000IU’… 숫자는 모두 익숙하지만, 그 단위가 어떤 의미인지까지 알고

food-father.com

반응형